IT's 2 EG

TCP/IP 모델 본문

IT 및 보안/네트워크

TCP/IP 모델

엠씨비기 2020. 9. 16. 22:23

1. TCP/IP 모델 개요

1960년대 냉전시대 미 국방부에서 통신 절차를 더 간소하고 신뢰성을 높힌 TCP/IP 모델을 설계하였다. 오늘날 대다수의 인터넷 통신은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2. 계층별 특징

1) 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

OSI 모델의 5, 6, 7계층을 포함하는 형태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계층이다. 어플리케이션의 표준화된 데이터를 교환하며 HTTP, FTP, SSH 등 프로토콜이 포함된다.

 

2) Transport Layer (전송 계층)

프로세스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이를 위해 오류, 누락 및 흐름제어, 혼잠제어 등을 수행하여 데이터의 안전한 전송을 보장한다. 주요 프로토콜로 TCP, UDP가 있으며 프로세스를 식별하기 위한 논리적인 주소로 Port(16bit)를 사용한다.

 

3) Internet Layer (인터넷 계층)

호스트간의 라우팅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호스트를 식별하기 위해 논리적인 주소로 IP(IPv4: 32bit, IPv6: 128bit)를 사용한다. 주요 프로토콜로 ICMP, IGMP, IP, ARP 등이 있다.

 

4) Network Interface Layer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OSI 모델의 1, 2 계층을 포함하는 형태로 인접한 노드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노드를 식별하기 위한 물리적인 주소로 MAC(48bit)를 사용한다. 

 

'IT 및 보안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계층  (0) 2020.09.15
Comments